토목이야기

[스크랩] 평판재하시험 KS F 2310

김관수 2016. 3. 18. 10:52

A. 도로 평판재하시험 (KS F 2310)

 

- 시험시기 : (현장밀도시험 불가능시)

ⓐ 노체 -> 3층포설후 150m마다 (2차선), 2,000m3마다)

ⓑ 노상 ->2층포설후 200m마다 (2차선), 1,000m3마다)

ⓒ 보조기층, 뒷채움 ->완성면 100m마다 (2차선), 500m3마다)

 

- 시험장비 : D/T 15 + 흙중량

- 시험시간 : 약 30분

- 시험방법 :

① 시험지반을 고르고 모래를 깐다.

② 재하판 놓고 잭설치. (하중지지점은 재하판 바깥과 1m 이격)

③ 침하량측정장치 (3m 지지보와 지지각)를 재하판과 하중지지점으로

부터 1m이상 이격하고 게이지 설치

④ 재하판 안정을 위해 미리 지반에 0.35kg/cm2 하중가해 “0”으로 돌리고

게이지 값을 읽어 침하의 원점으로 함. ( 250kg / 706.9cm2 = 0.35kg/cm2 )

⑤ 0.35kg/cm2 씩 하중증가, 하중과 침하량 측정함.

- 시험종료 : 침하량이 15mm 달하거나 하중강도가 지반의 항복점 넘을때

- 결과해석 : 2.5mm 일때 하중강도 구하고 다음식에 대입,

K = 하중강도 / 0.25 = 지지력계수(kgf/cm3) 아래표와 비교해 크면 O.K

구분

Cement Con'c 포장

Asphalt Con'c 포장

침하량(cm)

0.125

0.25

지지력 계수 (kgf/cm3)

노체

10 이상

15 이상

노상

15 이상

20 이상

보조기층, 뒷채움

20 이상

30 이상

※ 단, 암성토는 0.125cm 침하 시 20kgf/cm2 이상

 

 

 

B 구조물 기초 평판재하시험 (KS F 2444)

 

- 시험시기 : (구조물 기초설치전)

- 시험장비 : B/H 1.0

- 시험시간 : 약 120분

- 시험방법 :

① KS F 2310과 동일함.

② 단계별 재하하중은 10Tf/m2 이하, 15분이상 유지

 

- 시험종료 : 

    a. 전체 침하량이 25mm 초과할 때

    b 가적침하량이 재하판 직경 10%이상

- 결과해석 :

    하중과 침하량 곡선을 그리고 접선의 교차점에서 하중강도가 항복하중~

    침하량 25mm일때의 하중강도가 극한하중

    (항복하중 1/2,극한하중 1/3 중 적은값이 지지력

    설계허용지지력과 비교해서 이상값 이면 O.K !!

출처 : 삶을 사랑하며, 인생을 노래하며
글쓴이 : 청풍명월 원글보기
메모 :